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자세금계산서8

전자세금계산서 진위 여부 확인 방법 전자세금계산서는 거래 당사자간에 거래를 입증하는 자료로써 국가기관 및 금융기관 등 제 3자가 거래 당사자로부터 입찰 또는 대출심사 등에 증빙자료로 활용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전자세금계산서 인쇄본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홈택스에서 승인번호 24자리외에 5가지 정보를 입력해야만 확인이 가능하였습니다. 만약, 누군가가 악의적으로 이 전자세금계산서 인쇄본을 위조하거나, 혹은 심사 후 수정을 하여도 따라 알아보기가 힘든 상황이었습니다. 이런 위변조 및 부정방지를 위한 전자세금계산서 진위여부 판별 방법을 아래에서 자세히 소개 하겠습니다. 전자세금계산서 발급사실 간편조회 서비스 도입배경 제3자(국가기관, 금융기관 등)가 거래 당사자로부터 제출받은 전자세금계산서 진위여부 확인.. 2023. 9. 7.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의무기준 "연 8천만원" 으로 하향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의무기준 "연 8천만원" 으로 하향 기존 전자세금계산서 발급의무는 법인사업자의 경우에는 금액에 상관없이 발급의무대상자며, 개인사업자의 경우 2023년 7월부터는 1억원이상, 2024년 7월부터는 8천만원이상으로 발급의무가 확대된다. 기획재정부는 1월 18일 발표했으며, 이 개정안은 입법예고 등의 절차를 거쳐 3월 경에 공포. 시행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따라서 일반과세자인 개인사업자의 경우 전자세금계산서 의무 발급자가 대폭 늘어날 것이다. 만약, 전자세금계산서 의무 발급자가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하지 않고, 종이세금계산서를 발행할 경우에는 가산세가 부과된다. 직전연도 연매출액이 1억원이 넘는 개인사업자의 경우 2023년 7월부터 전자세금계산서 발급의무 대상자가 되니 직전연도의 매출액을 .. 2023. 2. 25.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최대 100만원 세액공제(ft,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1건당 200원 공제)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최대 100만원 세액공제(ft,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1건당 200원 공제) 부가세 신고기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부가세 신고기간 일반과세자 : 2022.07.01 ~ 2022.12.31의 과세기간에 대해 2023.01.01 ~ 2023.01.25일까지 신고 및 납부 간이과세자 : 2022.01.01 ~ 2022.12.31의 과세기간에 대해 2023.01.01 ~ 2023.01.25일까지 신고 및 납부 2022.07.01부터 발급한 전자세금계산서에 대하여 1건당 200원의 세액공제를 해준다.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세액공제을 해주는 이유? 세법의 개정으로 인하여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의무 사업자의 확대로 인한 전자세금계산서 발급을 독려하기 위해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의무대상자는? - 법인사업자 .. 2022. 12. 29.
수정세금계산서 6가지 유형(ft,취소 및 정정) 수정세금계산서의 6가지 유형(취소 및 정정) 수정세금계산서를 발급해야 하는 경우 우리는 사유를 선택해야 할까? 아무 사유나 선택하였다가는 향 후 문제가 될 까봐 걱정이다. 더군다나 취소 및 정정사유 6가지 유형에서 초보자들은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하는지 아리송한 부분이 많다고 한다. 그럼 이 부분을 자세히 알아보자. 먼저 6가지 유형이 어떤것이 있는지 국세청 홈택스 화면을 확인해보자. 1. 기재사항 착오 정정 등 세금계산서를 발급 할때, 오류나 변동사항을 확인 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기재사항 착오 정정의 사유로는 상대 거래처의 사업자등록번호의 오류, 상호의 변경으로 인한 상호변경, 작성일자의 변경 및 공급가액과 세액의 수정이 그 대상이다. 기재사항 착오 정정을 선택하면, 기존 발급분을 취.. 2022. 12. 1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