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개인사업자의 세금관련132 부가가치세 신고유형과 기간, 부가세율 전편에서는 과세 유형과 과세자의 종류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제 [부가가치세]에 대하여 알아보고 신고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자. 부가가치세란? 상품(재화)의 거래나 서비스(용역)의 제공과정에서 얻어지는 부가가치(이윤)에 대하여 과세하는 세금. 사업자가 납부하는 부가가치세는 매출 세액에서 매입 세액을 차감하여 계산한다. [부가가치세=매출세액-매입세액] *부가가치세는 물건값(판매액)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최종소비자가 부담하는 것이며, 사업자는 최종소비자가 부담한 부가가치세를 세무서에 납부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부가가치세 과세대상 사업자는 상품을 판매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할 때 거래금액에 일정금액의 부가가치세를 징수하여 납부해야 한다. 부가가치세 납세의무자 영리목적의 유무에 상관없이 사업상 상품(재화).. 2022. 10. 29. 일반과세자에 유형과 구분 전편에서 간이과세자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의 구분하는 유형은 부가가치세 과세 기준이라는 것을 알았으며, 간이과세자에 대하여 알아본 만큼 이번에는 일반과세자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자. 1. 일반과세자의 정의 일반과세자란 부가가치세를 매출액의 10%를 납부해야 하는 사업자를 말한다. 간이과세자에서 알아보았듯이 연간매출액이 8,000만원 이상인 사업자이다. 2. 일반과세자의 혜택 [매입세액]을 전액 공제받을 수 있다. 우리가 부가가치세를 계산방식은 매출세액-매입세액이다. 거래처(일반인이 아닌 사업자 대상)과 거래에 조금 더 신뢰를 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거래처가 일반과세자인 경우 세금계산서 발행을 요구 받는다. 이때, 간이과세자의 경우(연매출4,800만원미만)에는 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수.. 2022. 10. 26. 간이과세자 유형과 구분(ft.간이과세자의 혜택) 우리는 전편에서 과세의 유형에 대해 알아보았다. 과세의 유형은 결국 부가가치세를 과세하기 위하여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로 구분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오늘은 간이과세자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간이과세자의 정의 개인사업자 중 연간매출액(부가가치세 포함)이 8,000만원이 되지 않는 소규모 사업자를 의미한다. 2021년부터 8,000만원으로 상향되었으면, 기존에는 4,800만원이었다. 또한, 간이과세자의 배제업종이 대폭 추가되었으니 이를 확인 할 필요성이 있다. 간이과세자의 혜택 세금계산서 발행의무가 일부 면제된다. 부가가치세율이 일반과세자(10%)에 비하여 현저히 낮다.(업종별로 차등 2.0~4.0%) 부가가치세 신고를 연간 1회만 한다. 연매출액이 4,800만원 (부가세 포함) 미만일 경우 .. 2022. 10. 25. 개인사업자 과세 유형과 혜택 과세유형에 대해 알아 보자. 과세 유형은 3가지로 구분된다.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 [면세사업자] 우리는 여기서 면세사업자를 제외한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1. 과세 유형을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부가가치세]를 과세하는 방법이다. 부가세를 기준으로 직전연도 매출액이 법에서 정한 금액을 넘기느냐? 안넘기느냐? 에 따라 [간이과세자]냐 [일반과세자]냐로 매년 적용된다. [일반과세자 VS 간이과세자] 구분 일반과세자 간이과세자 적용기준 1. 연간 매출액 8천만원 이상 2. 간이과세 배제 업종 1.연간 매출액 8천만원 미만 2. 간이과세 해당 업종 부가가치세율 10% 동일 2.0%~4.0% 업종에 따른 차등 납부면제 없음 직전연도 매출액이 4,800만원 미만인 경우 면.. 2022. 10. 25. 이전 1 ··· 30 31 32 33 다음 728x90